박정 의원, 영남에 관측지진 보다 6배 많은 미소지진 발생밀양 6.2배, 영덕해역 6배 등 미소지진 현재진행형
[GNN 뉴스통신=손지훈 선임기자] 지난 포항지진을 계기로 시작된 기상청의 ’한반도 지하 단층·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사업‘ 1단계 결과 영남지역에 미소지진이 관측 지진보다 6배 많게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정 의원(경기 파주시을)이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영남권 지하 단층구조 모델 개발‘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기상청의 관측된 지진보다 평균 6배 이상의 미소지진이 영남권에 발생한 것이다. 미소지진은 리히터 규모 2.0이하의 지진으로 기상청 지진계로는 관측이 어려운 지진들이다. 기상청은 이의 파악을 위해 영남권 내륙에 연구용지진계 20대와 동해남부해역에 연구용 해저지진계 20대, 수도권에 60대를 설치하여 2021년까지 미소지진을 관측하고 지진활동을 정밀분석했다. 그런데 영남권 미소지진 관측결과 기상청 지진으로 관측된 지진보다 평균 6배 이상의 미소지진이 발생한 것이다. 특히 포항의 경우 1년동안 3,101건의 미소지진이 발생했고, 영덕해역의 경우도 1053건이나 미소지진이 발생했다. 특히 영덕해역의 경우 기상청 지진관측의 6배이다. 서울지역도 기상청이 관측한 지진은 2건에 불과하지만, 연구용 지진계를 통해 관측된 지진은 37건이나 된다. 밀양지역도 관측지진에 비해 6,2배 많은 미소지진이 발생했다. 이는 결국 한반도 어디에서나 끊임없이 지진이 발생하고 있고, 언제든지 지진이 발생해도 이상할 것이 없다는 얘기다. 그런데 우려스러운 것은 1단계 사업에서 미소지진을 관측하기 위해 영남 내륙과 해안에 설치된 연구용 지진계 약 40개가 모두 철거되고, 이 연구용 지진계는 2단계 사업인 강원권에 설치되어, 앞으로 영남권에서 발생하는 미소지진을 관측할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기상청은 이 이유에 대해 연구용 지진계가 설치비용이 약 22억이고, 해상용 지진계 비용이 15억인데, 이를 유지할 예산과 사업 근거가 없어 철거 후 강원권으로 이동했다는 입장이다. 박정의원은 “37억 때문에 앞으로 일어날지 모르는 큰 지진을 예측하지 못하는 것이 더 큰 문제이다.”라고 지적한 후 “지진 발생원인 규명과 유사 지진 발생의 위험요소를 파악하기 위해서, 예산을 늘려서라도 연구용 지진계를 전국적으로 설치하고 미소지진을 지속해서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라고 기상청장에게 주문했다. 한편 한반도 지하 단층·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사업은 1단계인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영남권, 수도권을 대상으로 조사를 했고, 2단계는 2022년부터 2026년까지 강원내륙과 동해중부해역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 중이며, 마지막으로 3단계 사업은 충청, 전라, 제주 등 나머지 지역을 2027년부터 2036년까지 조사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GNN 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